본문 바로가기
국내,외 이슈

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확정(9>13%)! 그럼 어떤 게 어떻게 달라질까요? 총정리!

by torrymang 2025. 3. 23.
반응형

2025년 3월,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현재 9%에서 13%로 단계적으로 인상되어요.

 

이번 개편은 국민연금 기금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, 더 안정적인 연금 지급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인데요,

 

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개편에 따라 달라지는 점연령대별 적용 방식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!

 

✅ 국민연금 개편, 이전과 무엇이 달라질까?

구분 기존 국민연금 개편 후 국민연금 (2025년부터 단계적 적용)
보험료율 월 소득의 9% 월 소득의 13% (4%p 인상)
월 소득 300만 원 기준 보험료 27만 원 (회사·개인 각각 13.5만 원 부담) 39만 원 (회사·개인 각각 19.5만 원 부담)
소득대체율 (평균 소득 대비 연금 수령 비율) 40% 50%로 확대 (단계적 조정)
연금 지급 개시 연령 2033년까지 65세 68세로 상향 검토 중

이번 개편에서 핵심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보험료율 9% → 13% 인상 (근로자와 회사가 각각 2%p씩 추가 부담)
  • 소득대체율(연금 수령액 비율) 40% → 50%로 인상 (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됨)
  • 연금 수령 시작 연령 65세 → 68세 조정 가능성

 

✅ 월 소득 300만 원인 사람의 부담 변화 예시

현재 국민연금은 월 소득의 9%를 납부하며, 회사와 근로자가 각각 4.5%씩 부담합니다. 하지만 이번 개편으로 인해 13%까지 오르게 되며, 이에 따른 변화를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.

구분 현재 (9%) 개편 후 (13%)
월 소득 300만 원 300만 원
총 국민연금 보험료 27만 원 39만 원
근로자 부담액 13.5만 원 19.5만 원
회사 부담액 13.5만 원 19.5만 원

💡 쉽게 말하면?

  • 현재 월 13.5만 원을 납부했다면, 개편 후 월 19.5만 원으로 6만 원이 증가합니다.
  • 하지만 연금 수령액도 늘어나기 때문에, 장기적으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✅ 연령별 국민연금 개편 적용 방식

이번 개편안은 청년층과 중·장년층에게 다르게 적용됩니다. 각 연령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1️⃣ 중·장년층 (40~50대, 곧 연금을 받을 예정인 세대)

  • 보험료는 늘어나지만, 소득대체율이 증가해 연금 수령액이 많아짐
  • 이미 납부한 기간이 많기 때문에, 연금 개시 연령 상향 시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도 있음
  • 50대 후반부터 연금 개시 연령이 68세로 연기될 가능성 있음

👉 예시

현재 50세 직장인 A씨는 55세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하고, 이후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예정이었습니다. 하지만 연금 개시 연령이 68세로 상향될 경우, 3년을 더 기다려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수령액 자체는 더 증가하기 때문에,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됩니다.

2️⃣ 청년층 (20~30대, 앞으로 오랫동안 납부해야 하는 세대)

  • 보험료 인상이 부담되지만, 장기적으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음
  • 소득대체율이 높아져 은퇴 후 받을 연금이 증가
  • 연금 개시 연령이 68세로 상향될 가능성이 높음

👉 예시

현재 25세 직장인 B씨는 월 소득 250만 원을 받고 있습니다. 국민연금 개편 이후 보험료율이 13%로 오르면, 기존 월 11.25만 원(개인 부담)에서 월 16.25만 원(개인 부담)으로 5만 원이 더 증가하게 됩니다.

하지만 B씨가 은퇴 후 받을 연금도 증가하므로, 장기적으로 보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✅ 국민연금 개편,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?

✔ 보험료 부담 증가 대비

  • 직장인: 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늘어나므로, 가계 지출을 재조정할 필요
  • 자영업자: 사업 소득이 일정하지 않다면, 납부 예외나 유예 제도를 검토할 필요

✔ 연금 수령 연령이 늦어질 가능성 대비

  • 퇴직연금(IRP)이나 개인연금(연금저축보험) 추가 가입 고려
  • 국민연금 외에 개인 노후 준비 자산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

✔ 국민연금 개편 일정 확인하기

  •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보험료율이 인상되며, 구체적인 적용 방식은 추가 논의 예정
  • 연금 개시 연령 조정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므로, 정부 발표를 지속적으로 확인

 

✅ 결론: 국민연금 개편, 부담은 늘지만 미래 보장은 강화된다!

이번 국민연금 개편은 보험료 부담을 높이지만, 연금 수령액을 늘려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려는 정책입니다. 단기적으로는 부담이 커질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.

📌 정리하자면?

  • 보험료율 9% → 13%로 인상 (2025년부터 단계적 적용)
  • 소득대체율 40% → 50%로 인상 (더 많은 연금 수령 가능)
  • 연금 개시 연령 68세로 상향 검토 중 (확정 X)
  • 중·장년층: 연금 개시 연령이 늦어질 가능성 → 노후 대비 필요
  • 청년층: 보험료 부담 증가 → 장기적으로 연금 수령액 증가

국민연금 개편으로 부담이 커지는 만큼,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 개인연금, 퇴직연금 등을 활용해 더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세요. 😊

📢 국민연금 개편에 대한 추가 정보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!

반응형